박보오리 Boohri Park

門 문

2018. 10. 12 – 11. 3

박보오리 Boohri Park

門 문

2018. 10. 12 – 11. 3

Artist Statement

박보오리 Boohri Park

나의 작업은 항상 나를 둘러싼 주변 공간을 오랫동안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작업의 결과물은 때로는 주변 환경에 대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응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오랜 시간을 거치며 좀 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모습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존재는 항상 그것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과 관계를 맺는다. 나는 존재와 공간 사이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 공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있다. 나는 내 작업을 이러한 관계 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의 장소로서 이해하고, 소리와 빛과 같은 매개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간으로부터 다른 성격의 공간을 환기하거나, 다른 공간으로의 전환, 전치 혹은 서로 다른 두 공간의 혼재를 통해 우리가 쉽게 고정된 것으로 생각 하게 되는 공간이 고정된 형태로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반사되거나 프 로젝트 된 빛은 평평한 2차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 자체로 이미 3차원의 공간을 암시하는, 공간의 가장 압 축된 형태로 이해 될 수 있다. 나의 작업이 주로 공간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설치와 입체 작업이 주를 이루지만, 사진, 영상, 설치, 드로잉 등 매체나 표현 기법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작업에 따라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가장 잘 표 현할 수 있는 매체를 선택한다.

Artist Statement

박보오리 Boohri Park

나의 작업은 항상 나를 둘러싼 주변 공간을 오랫동안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작업의 결과물은 때로는 주변 환경에 대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응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오랜 시간을 거치며 좀 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모습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존재는 항상 그것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과 관계를 맺는다. 나는 존재와 공간 사이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 공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있다. 나는 내 작업을 이러한 관계 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의 장소로서 이해하고, 소리와 빛과 같은 매개체를 이용하여 하나의 공간으로부터 다른 성격의 공간을 환기하거나, 다른 공간으로의 전환, 전치 혹은 서로 다른 두 공간의 혼재를 통해 우리가 쉽게 고정된 것으로 생각 하게 되는 공간이 고정된 형태로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반사되거나 프 로젝트 된 빛은 평평한 2차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 자체로 이미 3차원의 공간을 암시하는, 공간의 가장 압 축된 형태로 이해 될 수 있다. 나의 작업이 주로 공간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설치와 입체 작업이 주를 이루지만, 사진, 영상, 설치, 드로잉 등 매체나 표현 기법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작업에 따라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가장 잘 표 현할 수 있는 매체를 선택한다.

Artist

Boohri_Park

박보오리 Boohri Park

Artist

Boohri_Park

박보오리 Boohri Park